안녕하세요
지난시간에는 함수 만드는 방법에 대해 배웠는데요, 이번시간에는 함수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아래 코드를 보시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package study; import javax.swing.JOptionPane; public class Study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콘솔창에 인삿말 출력 System.out.println("안녕"); // 빙글빙글 for (int i = 1; i <= 3; i++) { JOptionPane.showMessageDialog(null, "빙글"); } // 나이 계산기 int year = Integer.parseInt(JOptionPane.showInputDialog("당신의 출생년도는?")); int age = 2019 - year + 1; JOptionPane.showMessageDialog(null, "당신의 나이는 " + age + "세입니다"); } } | cs |
여태까지 배웠던 내용들을 사용해서 코딩을 해놓았는데요, 별도의 함수를 만들지 않고 메인함수에다가 계속 코딩을 하게 되면 메인함수가 너무 장황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기능마다 함수로 만들어 놓는걸 추천드립니다.
아래처럼 말이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package study; import javax.swing.JOptionPane; public class Study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sa(); round_round(); age_calc(); } public static void insa() { System.out.println("안녕"); } public static void round_round() { for (int i = 1; i <= 3; i++) { JOptionPane.showMessageDialog(null, "빙글"); } } public static void age_calc() { int year = Integer.parseInt(JOptionPane.showInputDialog("당신의 출생년도는?")); int age = 2019 - year + 1; JOptionPane.showMessageDialog(null, "당신의 나이는 " + age + "세입니다"); } } | cs |
이처럼 각각의 기능을 함수화 시켜놓으면,
insa();
round_round();
age_calc();
메인함수의 이 세줄만 봐도 뭐하는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죠(주석도 필요없네요). 만약 함수 이름 짓는게 어렵다 싶으면 한글 이름도 괜찮습니다.
1 2 3 4 5 6 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ound_round(); insa(); insa(); } | cs |
이런식으로 자유자재로 호출해서 사용해도 됩니다. 두번 호출하면 두번 실행되고 호출을 안한 함수는 실행이 되지 않겠죠.
다음 시간에는 함수의 괄호 속에 들어가는 '인수'라는 녀석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바로 게임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로 게임 만들기] 20. 리턴함수 (2) | 2019.01.07 |
---|---|
[자바로 게임 만들기] 19. 인수가 있는 함수 (4) | 2019.01.03 |
[자바로 게임 만들기] 17. 함수를 만들어봅시다 (2) | 2018.12.30 |
[자바로 게임 만들기] 16. if문 뽀개기 (0) | 2018.12.29 |
[자바로 게임 만들기] 15. if문으로 나이계산기 업그레이드 (0) | 2018.12.29 |